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🏛️2025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개정! 장기재직휴가, 남성 특별휴가까지 완벽 해설

by ideas2026 2025. 4. 11.
반응형

 

공무원은 오래 일해도 별 보상이 없다?
배우자 임신 시 남성 공무원도 휴가 쓸 수 있다는데 진짜인가요?

 

✔️ 2025년 7월부터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이 전면 개정됩니다.


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장기재직휴가
남성공무원 가족휴가, 임신기 모성보호시간 강화 내용


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

✅ 1. 장기재직휴가란? (2025년 신설)

10년 이상 근무한 국가공무원에게 보상 개념으로 주어지는 유급휴가입니다.

재직 기간휴가 일수
10년 이상 최대 3일
20년 이상 최대 5일
30년 이상 최대 7일
  • 정기 연가 외 별도 지급
  • 특정 사유 없어도 자유롭게 사용 가능
  • 팀장, 관리자도 적용 가능!

📌 공무원 사기 진작 + 리프레시 제도 강화


✅ 2. 남성공무원도 ‘배우자 임신검진’ 동행 시 휴가 사용 가능!

이제 남편도 산부인과 함께 갈 수 있습니다!

  • 특별휴가 인정: 배우자 임신 관련 검진 동행
  • 휴가명: 가족돌봄 특별휴가
  • 사용 조건: 진료예약서 등 간단한 증빙

💡 기존에는 출산 전에는 휴가가 없던 남성에게도,
드디어 임신기 배려 제도 도입!


✅ 3. 임신기 여성공무원, ‘모성보호시간’ 반드시 보장

  • 기존에는 팀장 재량에 따라 거절되는 사례 많았던 ‘모성보호시간’
  • 이제는 의무 허용!
  • 진료, 휴식, 입덧 등 근무 중 유연 사용 가능
사용 예시설명
오전 1시간 단축 통근 부담 감소 목적
태아검진 시간 평일 근무 중 외출 형식 허용
입덧 등 컨디션 조절 중간 휴식 가능

✅ 근무 탄력성 + 건강권 강화 → 실질적 워라밸 개선


✅ 시행 시기 및 적용 대상

📅 2025년 7월 1일 시행 예정
📌 적용 대상: 국가공무원 전 계층
(지방공무원은 별도 지자체 규정 참조)


 

✍ 마무리 요약

내용핵심 포인트
장기재직휴가 10년 이상 재직 시 최대 7일 유급휴가
남성공무원 임신검진 동행 시 특별휴가 허용
여성공무원 모성보호시간 의무 허용으로 제도 실효성 강화

공무원 제도도 이제는 가족과 워라밸을 중심으로 변화 중!


2025년부터 달라질 제도, 미리 알아두고 똑똑하게 활용하세요 😊


공감/공유로 많은 분들에게 정보가 전해지길 바랍니다.

반응형